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화오션의 미 해군 MRO 사업 진출 배경
2.2. USNS 월리 쉬라호 MRO 수행 과정
2.3. 기술적 특성과 운영 전략
2.4. 사업 성과 및 향후 전망
3. 결론
4. 참고
< 함정 정비를 위해 입항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인 ‘월리 쉬라’호. 출처: 한화오션>
1. 서론
2024년 9월 한화오션은 한국 조선업계 최초로 미 해군 소속 군수지원함 USNS 월리 쉬라호(USNS Wally Schirra, T-AKE 8)의 정기 유지보수·수리·개조(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사업을 수주하며 국방 분야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 프로젝트는 한화오션이 2024년 7월 획득한 미 해군 마스터 선박 수리 계약(MSRA) 인증*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 기업의 군함 MRO 역량을 해외에 입증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본고에서는 해당 사업의 배경, 수행 과정,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한다.
*USNS(United States Naval Ship) : 비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보조함 또는 지원함
민간인 선원이 운영하며, 필요시 군 인력이 탑승
USS(United States Ship)와 달리 전투 임무를 수행하지 않음
* MSRA(Master Ship Repair Agreement): 미 해군이 선정한 신뢰성 있는 조선소와 장기 수리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필수 인증 제도
2. 본론
2.1. 한화오션의 미 해군 MRO 사업 진출 배경
한화오션은 2023년 필라델피아 소재 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 인수를 통해 북미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이후, 미 해군과의 협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모색해 왔다. 2024년 7월 MSRA 인증 획득으로 미 해군 함정 수리 자격을 공식 인정받았으며, 이는 한국 조선업계 최초의 성과였다. 당시 미 해군은 노후화된 군함들의 효율적 유지보수 필요성과 아시아 지역 전략적 거점 확보를 고려해 한화오션을 협력사로 선정했다.
*미 해군 군함의 평균 연령은 2024년 기준 25년을 넘어섰으며, 이중 30% 이상이 30년 이상의 노후 함정으로 분류됨
이러한 배경 아래 2024년 8월 체결된 USNS 월리 쉬라호 MRO 계약은 총 공사 기간 3개월, 공사 금액 1200억 원 규모로 시작되었으나, 추가 부품 수리 필요성이 발견되며 2025년 3월까지 기간이 연장되었다.
2.2. USNS 월리 쉬라호 MRO 수행 과정
• 선박 입항 및 사전 점검(2024.09~2024.10): 2024년 9월 2일 경남 거제 조선소에 도착한 월리 쉬라호는 40,000톤급 건조물자보급함(Dry Cargo/Ammunition Ship)으로 전장 210m, 폭 32.2m의 규모를 갖췄다. 초기 검사에서 엔진 냉각 시스템 결함과 화물창 방수 설비 마모가 확인되었다.
• 핵심 수리 단계(2024.11~2025.01)
o 엔진 시스템: MTU 8000 시리즈 디젤 엔진 4기 중 2기 교체
o 전자 장비: 레이더 및 항법 시스템을 AN/SPS-78에서 AN/SPS-80으로 업그레이드*
o 구조 강화: 선체 용접 부위 12곳에 초고장력 강철(AH36) 패치 적용
• 최종 검수 및 인도(2025.02~2025.03): 2025년 3월 13일 미 해군 군수사령부(MSC) 측이 최종 승인 후 하역 작업을 완료하고 진해만을 통해 귀항했다.
*AN/SPS-80: 360도 전방위 감시가 가능한 4면 위상배열 레이더 시스템
2.3. 기술적 특성과 운영 전략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에서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과 모바일 작업 플랫폼을 결합한 혁신적 접근법을 도입했다.
주요 기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체 검사 : 스마트 초음파 탐상법(Smart UT)을 활용한 균열 탐지 정확도 98% 달성
전장 시스템 : C4I 시스템* 호환성 테스트를 통한 데이터 연동 검증
환경 안전 : 친환경 도료(ECOPAINT) 적용으로 방오 성능 40% 향상
*C4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and Intelligence): 군사 작전 통합 관리 시스템
동시에 45개 중소 협력업체와의 공동 작업 체계를 구축해 현지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전자 장비 업체 K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레이더 시스템 국산화율을 22%에서 35%로 증대시켰다.
2.4. 사업 성과 및 향후 전망
이번 MRO 수행으로 한화오션은 2024년 11월 추가 수주 계약(USNS 유콘 함정)을 체결했으며, 2025년 기준 예상되는 미 해군 MRO 시장 규모 60억 달러(약 8조 원) 중 15% 점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미 해군 군수사령부 코리아(MSO-K)의 패트릭 무어 대령은 "한국 조선소의 기술력이 기대 이상"이라 평가하며 장기 협력 의사를 밝혔다.
3. 결론
USNS 월리 쉬라호 MRO 사업은 한국 조선업계가 상용선 건조에서 군사 분야로 역량을 확장한 전환점이다. 한화오션은 이번 성공을 바탕으로 2026년까지 미 해군 함정 12척 추가 유치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 예측정비 시스템 도입을 통해 MRO 효율을 30% 이상 개선할 계획이다. 군사 분야 MRO 시장 진출은 단순 수주 규모 확대를 넘어 국가 간 전략적 동맹 강화로 이어질 잠재력을 내포한다.
4. 참조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에서 Overhaul의 정비적 개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Operation의 약자가 아니다.)
정의:
Overhaul은 장비나 시스템의 전면적인 분해, 검사, 수리 및 재조립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정비 과정이다.
목적:
장비의 성능을 원래의 설계 사양이나 그 이상으로 회복시키는 것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
잠재적인 고장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는 것
주요 특징: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수행됨
일상적인 유지보수보다 더 광범위하고 심층적임
모든 주요 구성 요소의 철저한 검사와 필요시 교체를 포함함
최신 기술이나 개선된 부품으로의 업그레이드 기회를 제공함
과정:
완전 분해
모든 부품의 세밀한 검사
마모되거나 손상된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
필요한 조정 및 보정
재조립 및 성능 테스트
적용 분야:
항공기, 선박, 자동차, 산업 기계, 발전소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
Overhaul은 단순한 수리를 넘어 장비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포괄적인 정비 과정으로, 장기적인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